Children's wellbeing

UK_Paul Bywaters.mp4

Paul Bywaters

The aim of this project, led by Professor Paul Bywaters and undertaken with the Universities of Coventry, Cardiff, Nottingham, Queens Belfast, Stirling & Edinburgh, was to establish child welfare inequalities as a core concept in policy making, practice and research in the UK and internationally. It focused attention on preventing harm to children by studying populations, structures and systems and by providing evidence that will help re-shape the direction and focus of children’s services. The project has had major impacts with policymakers in all four countries of the UK and Ofsted, changing the conversation about the role of poverty and inequality in children’s social care. For example, the Welsh Government now has an explicit policy of reducing the numbers of children in care by supporting families better. The Scottish Independent Care Review cited this research in its call for a profound reorientation of children’s social work towards keeping families together. In Glasgow, the number of children in care has been reduced by almost 500 since 2016, informed by the research, with entry rates and placement moves cut by 60% and 70% respectively. Across England local authorities have begun to change their policies in relation to how they support families in poverty and a suite of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by the British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 Northern Ireland, the Department of Health produced an Anti-Poverty Framework to inform all social work practice.

Paul Bywaters 교수가 주도하고 Coventry, Cardiff, Nottingham, Queens Belfast, Stirling & Edinburgh 대학과 함께 수행된이 프로젝트의 목적은 영국 및 국제적으로 정책 결정, 실천 및 연구의 핵심 개념으로 아동 복지 불평등을 수립하는 것이 었습니다. 그것은 인구, 구조 및 시스템을 연구하고 어린이 서비스의 방향과 초점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이되는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영국과 Ofsted의 네 개국 모두에서 정책 입안자들과 큰 영향을 미쳐 아동 사회 복지에서 빈곤과 불평등의 역할에 대한 대화를 바꿨습니다. 예를 들어, 웨일스 정부는 이제 가족을 더 잘 지원함으로써 보육 아동의 수를 줄이는 명시적인 정책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코틀랜드 독립 케어 리뷰 (Scottish Independent Care Review)는이 연구를 인용하여 가족을 하나로 모으기위한 어린이 사회 사업의 심오한 재지향을 촉구했습니다. 글래스고에서는 2016 년 이후 보육 아동의 수가 거의 500 명 감소했으며, 연구에 따르면 진입률과 배치 이동이 각각 60 %와 70 % 감소했습니다. 영국 전역의 지방 당국은 빈곤 한 가정을 지원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정책을 변경하기 시작했으며 영국 사회 복지사 협회 (British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가 일련의 자료를 개발했습니다. 북 아일랜드에서는 보건부가 모든 사회 복지 실천을 알리기 위해 빈곤 퇴치 프레임 워크를 만들었습니다.

Recodring_Sun-Hee Baek.mp4

Sun Hee Baek

한국은 대표적 저출생 국가로 1980년 대비 2020년의 아동인구는 약 절반 수준으로 감소함. 장기적으로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로 이어져, 한국의 지속가능성의 문제 유발함. 아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

한국은 경제 선진국이지만 아동의 행복수준은 낮음. 물질적으로는 풍요하나 주관적 행복, 친구와 가족 간의 관계, 여가 활동 측면에서 결핍이 큼. 한국에서 부모들은 아동양육에 부담을 가지며, 아동들은 과도한 경쟁으로 인해 행복해하지 않으며, 계층별 격차로 빈곤아동 발달을 저해함. 코로나19는 가정 양육 역량을 저하시키고 위기아동을 증가시킴.

한국은 ‘포용국가 사회정책’ 전략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국민의 삶의 질 개선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적으로 함. 포용국가 아동정책(2019)은 아동이 현재와 미래의 행복을 누릴 수 있도록 국가책임을 확대하는 정책으로, 미래를 위한 투자에서 현재와 미래의 아동 행복, 양육과 훈육의 대상에서 권리 주체로서의 아동, 부모의 책임 중심에서 가정, 학교, 지역사회, 국가 책임을 강조하는 방향을 패러다임을 전환한 것임. 제2차 아동정책 기본계획(2020~2024)의 근간이 됨.

South Korea is a leading low-birth country, with the child population declining by about half in 2020 compared to 1980. In the long run, it leads to a decline in the productive population, which leads to problems with the sustainability of Korea. Increased interest in children. South Korea is a developed economy, but the level of happiness of children is low. Materially affluent, but lacking in subjective happiness,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family, and leisure activities. In Korea, parents are burdened with child rearing, children are not happy because of excessive competition, and class gaps impede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n poverty. COVID-19 is decreasing home-rearing capacity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children in crisis. The Inclusive National Children's Policy (2019) is a policy that expands national responsibility to enable children to enjoy the happiness of the presentand the future, a paradigm shift in the direction of investing in the future to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child as a right actor in the objects of child happiness, nurturing and discipline in the present and futur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parents at the center of the responsibility of the child. Formed as the basis for the Second Basic Plan for Children's Policy (2020-2024). Announced the 4th Promotion Strategy through the 2nd Plan with the vision of a happy country for children (realizing the rights of children as a rights holder, supporting healthy and balanced development, strengthening national responsibility for a fair start, and innovating children's policies in response to COVID-19). It also announced comprehensive children's policy tasks, including: Establishing a legal basis for the reflection of child-centered policies (enacting the Basic Law on the Child), conducting an assessment of the impact of children's policies, eliminating blind spots in children's rights, ensuring children's rights in family life,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of children's mental health, establishing a public-centered child protection system infrastructure, expanding and internalizing the operation of child care, ensuring the continuity of national responsibility for vulnerable children, strengthening support for children from diverse backgrounds, strengthening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etc., The establishment of an emergency care support system in response to COVID-19 and the implementation of a pilot project for non-face-to-face child protection services, etc. In particular, the formation of a public child protection system is a major change.

SK_ Bakne IM_ recording.mp4

Bakne Im and Hyejin Kim

코로나19로 대표되는 재난은 아동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재난은 한국에서 일반아동 보다 빈곤아동 및 취약아동의 일상에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된다(아동권리보장원, 2020; 정익중 외, 2020; 신영미, 권순범, 2021; 박미희, 2020; 남재현, 이래혁, 2021). 가장 먼저,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20212~202112) 정부와 민간 NGO 단체, 개인 연구자들이 수행한 아동의 삶과 관련된 실태조사와 관련 연구를 통해 코로나19가 빈곤아동에게 미친 영향과 심화된 사회적 배제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빈곤아동은 비빈곤아동에 비해서 생활에 필수적인 재화와 서비스, 건강, 돌봄, 교육, 문화, 주거, 사회적 참여 등 다차원적인 박탈의 수준이 훨씬 열악했고 이러한 박탈을 만회할 수 있는 국가의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코로나19 시기 한국 정부의 정책적·실천적 대응 정책이 빈곤아동이 경험한 이러한 사회적 배제를 방지하는 것이었는지에 초점을 두고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사회적 배제의 영역에 따른 관련 대응 정책의 유무와 내용평가를 통해 정부의 대응의 한계점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disaster represented by COVID-19 has made many changes in the lives of children. In particular, disasters are reported to have had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the daily lives of impoverished and vulnerable children than on the average child in South Korea (Institute for the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2020; Jung Ik-jung et al., 2020; Shin Young-mi, Kwon Soon-bum, 2021; Mihee Park, 2020; Nam Jae-hyeon, Lee Rae-hyuk, 2021). First and foremost, the study is based on a fact-finding survey of the lives of children conducted by governments, private NGOs, and individual researchers during the COVID-19 period (February 2021 to December 2021) and related to the coronavirus. We looked at the impact of 19 on children in poverty and the intensification of social exclusion . Children in poverty had much poorer levels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including the goods and services essential to life, health, care , education, culture, housing, and social participation, compared to non-poor children, and were able to make up for this deprivation . Raised the need for policy intervention by the state. Accordingly, the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analysis was attempted to focus on whether the practical response policy was to prevent this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children in poverty, and the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s response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presence and content of relevant response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area of social exclusion and He wanted to give a direction to go.

UK_Claire Parker.mp4

Claire Parker

Creative Mentoring is a one-to-one service for looked after, or care experienced children and young people. It uses the expertise and experiences, of various creative professionals across the arts, to inspire individuals in achieving their potential. DCC’s Virtual school piloted the Creative Mentor programme back in 2008, through the Amber Factory. It is now being rolled out across the East and West Midlands through an arts organisation called- The Mighty Creatives. The Creative Mentors support wellbeing through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in the arts.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relationship and enjoyment in art-based activities improves educational attainment, and progression pathways. A personalised creative journey begins where the mentor and student work together, and new skills and new ways of being are discovered and shared. Working alongside artists and creative professional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whole team around a child to move in a more positive and pro-active direction, moving away from a deficit model of engagement to one that starts from what the young person or child can do, and wants to do, raising aspirations, confidence and self-esteem.

크리에이티브 멘토링 은 돌봄 또는 경험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돌보는 일대일 서비스입니다. 그것은 예술 전반에 걸쳐 다양한 창조적 인 전문가의 전문 지식과 경험을 사용하여 개인이 잠재력을 달성하도록 고무시킵니다. DCC의 가상 학교는 2008 년 앰버 팩토리를 통해 크리에이티브 멘토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했습니다. 현재 The Mighty Creatives라는 예술 단체를 통해 동부와 서부 미들랜드 전역에 배포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멘토는 예술에 대한 참여와 참여를 통해 웰빙을 지원합니다. 예술 기반 활동에서 창조적 인 관계와 즐거움의 발전은 교육 성취와 진행 경로를 향상시킵니다. 멘토와 학생이 함께 일하는 곳에서 개인화 된 창조적 인 여행이 시작되며,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존재 방식이 발견되고 공유됩니다. 예술가 및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들과 함께 일하는 것은 어린이 주변의 팀 전체가 더 긍정적이고 능동적 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적자 참여 모델에서 벗어나 젊은 사람이나 어린이가 할 수있는 일에서 시작하여 열망, 자신감 및 자부심을 키울 수있는 모델로 이동합니다.

SK_Han Yoo Jung.mp4

Han Yoo Jung

코로나19 관련 한국의 민간단체 지원 활동: 굿네이버스를 중심으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 아동의 삶의 변화에 대해서 굿네이버스에서 2020년과 2021년에 실시한 아동 재난대응 실태조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 민간단체의 지원활동을 굿네이버스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하였다. 두 번의 실태조사 결과, 가족의 돌봄 부담이 커지면서 아동의 결식 및 돌봄 수준 등이 부정적으로 변하였다. 또한 수면과 여가 시간은 늘어났지만 온라인 컨텐츠나 미디어 사용에 집중되었으며 이로 인한 부모-자녀간 갈등이나 온라인 폭력 경험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한 돌봄, 결식, 학습과 관련된 어려움이 소득감소 및 취약 계층에 더 크게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굿네이버스의 지원활동은 크게 2020년 취약계층 및 복지사각지대 아동을 중심으로 한 긴급구호활동과 2021년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 최소화 및 회복 지원을 위한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Supporting South Korea's Private Organizations Involved in COVID-19: Focusing on Good Neighbors.

W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lives of Korean children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rough the 2020 and 2021 Child Disaster Response Survey conducted by Good Neighbors. He also introduced the support activities of the Korean private sector in response to COVID-19 around the Good Neighbors case. As a result of two fact-finding surveys, the burden of family care has increased, and the level of care and termination of children has changed negatively. In addition, while sleep and leisure time has increased, the focus has been on the use of online content or media, which has led to an increase in parent-child conflicts and online violence experiences. And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care, absence, and learning due to COVID-19 have been greater for those with declining incomes and vulnerable populations. Good Neighbors' outreach efforts in response to COVID-19 can be broadly divided into emergency relief activities focused on vulnerable and welfare blind spot children in 2020 and activities aimed at minimizing the negative impact of COVID-19 and supporting recovery in 2021.


UK_Robyn Fawctt.mp4

Robyn Fawcett

Families Lived Experiences of Universal Credit in the UK Welfare in the UK has often been considered complex and complicated the Universal Credit system, has been presented as a system to streamline the services by combining six benefits: housing benefit, Income Support, Working Tax Credit, Child Tax Credit, Income-related Employment and Support Allowance, Income-based Jobseekers Allowance, into one universal benefit. This presentation draws upon Robyn Fawcett’s doctoral research, which carried out 37 qualitative longitudinal interviews between February 2020 and September 2021. The findings demonstrate, widespread service harms such as the five-week wait, managing and childcare challenges which compound everyday challenges for example mental health difficulties. Furthermore, the research addresses the impact of conflicting responsibilities between Universal Credit commitments, caring responsibilities and budgeting which impact parents wellbeing and time to be present with their families.

가족은 영국에서 유니버설 크레딧의 경험을 살았습니다. 영국의 복지는 종종 유니버설 크레딧 시스템이 복잡하고 복잡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주택 혜택, 소득 지원, 근로 세액 공제, 자녀 세액 공제, 소득 관련 고용 및 지원 수당, 소득 기반 구직자 수당, 하나의 보편적 인 혜택으로 여섯 가지 혜택을 결합하여 서비스를 간소화하는 시스템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이 프레젠테이션은 Robyn Fawcett의 박사 과정 연구를 바탕으로 2020 년 2 월부터 2021 년 9 월 사이에 37 건의 질적 종단 인터뷰를 수행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정신 건강 문제와 같은 일상적인 문제를 복잡하게 만드는 다섯 주간의 대기, 관리 및 보육 문제와 같은 광범위한 서비스 피해를 보여줍니다. 또한이 연구는 유니버설 크레딧 약속, 돌보는 책임 및 예산 책정 간의 상충되는 책임의 영향을 다루어 부모의 복지와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에 영향을 미칩니다.